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축통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축통화
기축통화란 여러 국가의 암묵적인 동의하에 국제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는
1) 국제무역결제에 사용되는 통화
2) 환율 평가 시의 지표가 되는 통화
3) 대외 준비자산으로 보유되는 통화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어떤 나라의 통화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원활히 유통할 수 있도록 유동성이 풍부하여야 하고, 거래 당사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신뢰성을 갖추어야 하며, 국제적으로 경제력은 물론 정치력・군사력까지 인정받는 국가의 통화여야 한다.
20세기 초반까지는 세계 금융경제의 중심이었던 영국의 파운드화가 국제 거래에 주로 이용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 세계 외환거래 및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현재 국제거래에서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통화로는 미국 달러 이외에도 유로호,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스위스 프랑화 등이 있는데 이들은 흔히 교환성 통화라 한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