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재테크/경제금융용어

19. 낙수효과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by 투썬 아빠 2023. 1. 31.



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 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 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낙수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낙수효과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과 고소득층 또는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 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전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결국 중소기업과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은 분배와 형평성 보다는 성장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제 41대 대통령인 부시가 1989년 부터 2992년까지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에 기반을 둔 경제정책을 채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3년 1월 당선된 클린턴 행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이전의 정책을 포기한바 있다.

 

2015년 국제통화기금(IMF)는 선진국,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한 연구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 : A Global Perspective”, IMF 2015년 6월)를 통해 상위소득 20% 계층의 비중이 커질수록 경제성장률이 낮아진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낙수효과가 현실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경제금융용어 700선⟫  다운로드 링크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