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재테크/경제금융용어

31. 무디스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by 투썬 아빠 2023. 2. 22.



 

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디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디스

1909년 출판업자인 미국의 John Moody가 창업하였으며 1909년 채권신용 평가업무를 개시하였다.

 

1929년 세계 대공황 때 무디스가 ‘투자적격’으로 평가한 기업들이 채무를 100% 이행하게 되면서 높은 신뢰와 명성을 획득한 이후 세계적인 투자자문회사로 성장 하였으며 S&P, Fitch와 함께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무디스는 일반적으로 채권의 신용등급을 신용리스크 수준에 따라 Aaa(최우량), Aa, A, Baa, Ba, B, Caa, Ca, C(최저)의 순으로 매기며, Aa에서 Caa까지는 숫자 1, 2, 3을 추가하여 등급을 세분한다.

 

 

무디스가 신용을 평가하는 국가 수는 1975년 3개국(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1990년 33개국(주로 선진국), 2000년에 108국(신흥시장국 포함)으 로 확대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 신용평가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무디스의 평가원칙은 정량분석(quantitative)을 강조하고 있으며, 주요 평가항목은 공채와 우선주 식, 정부의 부채상환 능력, 장단기 채무 이행능력, 은행감독정도, 자본시장 구조, 재무상 의 투명성 및 규제환경, 채무 감당능력, 유동성 등 시장리스크, 기업의 재정 및 리스크 경영과 통제 등이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30. 명목금리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29. 매몰비용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다운로드 링크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