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출 금리로 시장이 시끌벅적합니다.
특히 고정금리냐 변동금리냐에 따라 어느 것이 좋다 나쁘다 의견들이 분분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변동금리가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변동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동금리
변동금리란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별로 약정하는 금리가 변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 + 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 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 금리가 최초 약정 시 3%, 약정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동일만기시에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은데 이는 자금 대여자(은행)에게 약정 기간 중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 프리미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변동금리의 준거가 되는 금리는 CD금리가 주로 활용되었으나 지금은 COFIX와 은행채 금리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아래 글을 함께 보시면 이해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것 모르고 대출 하면 큰일 납니다!!! MOR 금리, COFIX 금리가 만드는 차이!?
35. 베블런효과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34. 뱅크런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 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