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회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회비용
인간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현상을 희소성이라고 한다. 희소한 자원을 가지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든지 부족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즉, 다양한 욕구의 대상들 가운데서 하나를 고를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 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무형의 이익 중 최선의 이익을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이라고 한다.
자원의 희소성이 존재하는 한 기회비용은 반드시 발생하게 되어 있고, 이는 경제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요인이 된다. 기업은 기업가가 투자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나머지 선택의 가치인 주가금액의 은행예금 이자 등이 기회비용이 된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17. 기축통화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16. 기준금리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8. 공공재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