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재테크/경제금융용어

2. 가산금리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中

by 투썬 아빠 2023. 1. 6.



 

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가산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혹은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 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 가산금리 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는 커진다. 

 

 

한편 채권 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O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 게 보통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 해외에서 기채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기준금리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bp, bais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5%의 금리 격차를 50bp로 표기하고 1%는 100bp로 표시된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경제금융용어 700선⟫  다운로드 링크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