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재테크/경제금융용어

33. 뮤추얼펀드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by 투썬 아빠 2023. 2. 26.



 

책 ⟪돈의 속성⟫에서 김승호 회장님은 경제금융용어 90개에 대한 언급을 하십니다.

 

적어도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엄선한 90개는 알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로버트 기요사키도 금융지식, 금융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경제적 어휘를 늘리는 것이다.'라고 책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물가지수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32. 물가지수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이번 글에서는 '뮤추얼펀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뮤추얼펀드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 후 그 운용수익을 투자자 즉, 주주들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의 하나이다. 이때 투자자는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간접 투자방식이다.

 

제도적으로 회사형과 계약형으로 나눌 수 있고, 주요 투자대상에 따라 단기금융시장, 채권형(또는 고정수입), 주식형(또는 순자산), 혼합형(하이브리드) 등으로 분류된다.

 

미국의 경우 뮤추얼펀드 이전의 간접투자 제도로는 1868년 투자조합 형태로 설립된 Foreign Colonical Government Trust가 최초이고 1924년 신탁형태로 보스턴에 설립된 Massacusetts Invstors Trust가 있었다. 1940년 투자회사법 (Investment Company Act 1940)의 제정으로 법적 기반이 정비되었다.

 

 

한편 단기 금융시장에 투자하는 MMF(Money Market Mutual Funds)는 지난 1970년대 금리가 규제되고 있던 시대에 혁신적인 금융상품의 하나로 발전하면서 미국 금융시장에서 금리 규제 철폐와 금융자유화를 가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대표적인 금융혁신 상품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1998년 9월 증권투자회사법이 제정되어 국제적 형태의 뮤추얼펀드가 도입되 었고, 자본시장통합법에 따라 집합투자기구와 집합투자증권이란 명칭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글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을 +1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31. 무디스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30. 명목금리 - 돈의 속성, 김승호 회장님이 말하는 경제금융용어 9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다운로드 링크 (클릭)

 

 


댓글